我的首尔病,最近爆火的“首尔病”是什么梗?这个赛道真是越来越挤了!

是什么意思?

首尔病 서울병

我的首尔病

玩梗而已

서울을 다녀온 뒤 한국을 그리워하며 일상에 적응하지 못하는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서울병(首尔病)이라는 신조어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단순한 여행 후유증을 넘어, 한국 문화와 사회를 이상적으로 바라보는 동경의 시선이 담겨 있어 파급력이 적지 않다.

在中国年轻人中,一个名为“首尔病”的新词汇像流行趋势般扩散——指从首尔回来后,因为怀念韩国而无法适应日常的状态。这不仅是单纯的旅行后遗症,更蕴含对韩国文化和社会的理想化向往,具有不小的影响力。

서울병은 의학적 진단명이 아니다. 서울에서 유학하거나 여행을 마친 중국 MZ세대가 귀국 후에도 서울의 분위기와 추억을 그리워하는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다. 예쁜 카페, 드라마 같은 거리 풍경, 아이돌 공연, 쇼핑, 야경과 한강 감성 등 강렬한 경험에 매료돼 돌아간 일상이 밋밋하고 공허하게 느껴지는 현상을 뜻한다.

首尔病并非医学诊断名词。它形容的是在首尔留学或旅行后回国的中国年轻一代,在返程后仍怀念首尔氛围和回忆的情感表达。具体举例来说,指的是沉醉于漂亮的咖啡馆、电视剧般的街道风景、偶像演出、购物、夜景和汉江情怀等强烈体验,回到日常后感到平淡又空虚的现象。

과거에는 한국을 깎아내리는 부정적 맥락에서 쓰였으나, 최근에는 "중국은 한국에게 배워야 한다", "적은 자원으로 풍부한 문화를 만든 나라"라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확산하고 있다.

该词在过去曾用于贬低韩国的负面语境。但近期伴随着“中国要向韩国学习”、“在有限资源重创造了丰富文化的国家”等正面评价,这一用法逐渐扩散而来。

抖音爆款视频

중국판 틱톡인 더우인(抖音)에서 서울병 해시태그 영상은 누적 조회수 1억 회를 넘겼다. 서울 도심의 야경을 담은 영상에는 "당신은 이런 여행을 한 적 있냐, 아직 끝나지 않았는데 마음은 이미 시작됐다. 아마 이것이 서울병의 증상일지도 모른다"는 글이 달렸다.

在中国版抖音上,“首尔病”话题标签的视频累积播放量已超过1亿次。一段拍摄首尔市中心夜景的视频配文道:“你有过这样的旅行吗?我还没结束,心已经开始怀念了。也许这就是首尔病的症状吧。”

한강 야경이나 남산타워, 롯데타워 드라이브 영상을 본 네티즌들도 "사람이 많고 교통체증에 물가도 비싸지만, 분위기는 중독성이 있다", "서울에서 보낸 하루하루가 너무 행복했다"고 후기를 남겼다.

在看过汉江夜景、南山塔、乐天塔驾车等视频的网友也留言讲到:“虽然人多、堵车、物价也贵,但氛围让人上瘾”、“在首尔的每一天都太幸福了”。

중국 누리꾼들의 반응은 다양하다. "서울에 도착하자마자 놀면 놀수록 더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울에 가면 도로 표시선도 어느 나라보다 선명하다", "서울병이 걸리는 이유는 내가 좋아하는 아이돌이 서울에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서울은 확실히 활기찬 느낌을 준다" 등 긍정적인 경험담이 이어졌다.

中国网友的反应各不相同,不乏正面体验分享“到首尔越玩越想再来”、“去了首尔才发现,道路标线比任何国家都清晰”、“我得了首尔病,大概因为喜欢的偶像在首尔吧”、“首尔确实给人感觉充满活力”。

서울병이 정말 심해졌다는 제목의 영상에는 78만 개가 넘는 좋아요가 달렸다.

题为《首尔病越来越重了》的视频获得了超过78万个赞。

영상 속 댓글에는 "아이돌 콘서트장에서 저혈당이 온 나에게 한국인이 초콜릿과 과자를 줬다", "한국에서 1년 넘게 살았는데 서울병이 더 심해졌다", "지하철을 잘못 탔더니 한국 여성이 역까지 데려다줬다. 선진국 사람들은 정말 친절하다", "한국인은 대부분 예의를 지켜 길을 건너고 언제나 차가 양보한다"는 구체적인 체험담도 공유됐다.

视频评论区还分享了不少具体经历:“在偶像演唱会现场我低血糖犯了,有韩国人给了我巧克力和零食”、“在韩国住了一年多,首尔病更重了”、“地铁坐错了,一位韩国女性把我送到了目的地车站,发达国家的人真的很亲切”、“大多数韩国人过马路都讲礼貌,车辆也总是礼让行人”等。

油管爆款视频

한국의 한 유튜버가 제작한 서울병 영상에는 삼겹살집에서 현지인에게 선물을 받은 중국 여성, 귀국 비행기에서 눈물을 흘리는 젊은이, 지하철에서 눈물을 닦는 모습 등이 담겼다.

韩国一位YouTuber制作的“首尔病”视频中,记录了在烤肉店收到当地人礼物的中国女性、回国航班上流泪的年轻人、地铁里擦眼泪的身影等画面。

이런 흐름 속에서 중국인들은 SNS에 "중국에 돌아가도 한국 생각만 하면 눈물이 난다", "자국 현실과 한국의 자유와 친절함을 비교하면 상사병 같은 감정이 든다"는 글을 남기며 서울병을 현대판 향수병처럼 표현하고 있다.

这成为一种趋势,不少中国人在社交平台上留言称“回国一想到韩国就流泪”、“对比本国现实和韩国的自由、亲切,就会产生像相思病一样的情绪”,把首尔病比作“现代版相思病”。

团体免签政策

한편 관광업계는 이번 무비자 정책을 반기는 분위기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외래관광객 조사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중국인 입국자는 전년 대비 16.52% 증가해 일본(8.92%), 미국(14.59%)보다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旅游业则对此次免签持欢迎态度。据韩国文化观光研究院外国游客调查显示,今年第二季度中国入境人数同比增长16.52%,增幅远超日本(8.92%)和美国(14.59%)。

한국관광공사 통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312만8988명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6.8% 늘었다. 업계는 무비자 정책과 더불어 다음 달 국경절·중추절 연휴 효과가 겹치면서 중국인 관광 수요가 본격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韩国观光公社统计显示,今年1-7月访韩的中国游客达312万8988人次,较去年同期增长 16.8%。业界期待随着对中免签政策的落地,加之下个月中国国庆和中秋连休的叠加效应,中国游客访韩需求将正式回暖。

相关人士分析

전문가들은 서울병 현상을 한국 문화의 매력과 중국 청년 세대의 동경심이 맞물린 결과로 본다.

专家认为,首尔病现象是韩国文化魅力和中国青年一代向往之情交织的结果。

김태연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교수는 "중국 젊은 세대는 미디어를 통해 한국 문화를 접하고, 다양한 뉴미디어 콘텐츠에서 서울을 자주 보면서 자연스럽게 동경심을 키워왔다"며 "서울이 글로벌 관광지로 각광받는 것도 큰 요인이다. 사드(THAAD) 사태 이후 교류가 줄었지만, 중국에서는 여전히 한국 문화가 자신들보다 한 수 위라는 인식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首尔市立大学中文文化系教授金泰妍(音译)解释道:“中国年轻一代通过媒体接触韩国文化,在各类新媒体内容中频繁了解到首尔,自然萌生了对首尔的向往之情。首尔作为全球旅游胜地备受关注也是重要原因。尽管萨德之后中韩交流减少,但在中国‘韩国文化比中国文化更胜一筹’的认知仍非常强烈。”

김 교수는 이어 "특히 지금 중국의 젊은 부모 세대는 한류 1세대다. 과거 동대문에 와서 쇼핑하던 기억이 있는 세대라 한국 문화에 대해 친근함이 몸에 배어 있다"며 "그들의 자녀인 MZ세대는 이런 부모 세대의 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SNS에서 본 서울 풍경을 직접 경험하고 싶어 한다. 그래서 한국 방문 후 만족도가 높고, 서울을 힙한 도시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하다"고 덧붙였다.

金教授补充:“尤其是现在中国的年轻父母是第一代韩流粉丝,他们也有过去来东大门购物的记忆,对韩国文化有着深入骨髓的亲切感。他们的子女——MZ一代,间接体验了父母的经历,也想亲身感受社交平台上看到的首尔风景。因此他们访韩后的满意度很高,愿意将首尔视为‘潮酷城市’。”

관광업계 관계자는 "최근 서울병이라는 표현이 중국 젊은 층 사이에서 퍼지는 것은 단순한 유행어가 아니라 한국 관광이 지닌 브랜드 가치를 보여주는 사례"라며 "중국의 국경절, 중추절 연휴와 맞물려 무비자 입국 정책까지 시행되면 중국인 관광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旅游业相关人士表示:“近期‘首尔病’一词在中国年轻群体中扩散,并非单纯的流行语,而是韩国旅游品牌价值的体现。随着中国国庆、中秋连休和免签入境政策叠加实施,中国游客需求将进一步增长。”

重点词汇

MZ세대【名词】 MZ 世代(指 1995-2009 年出生的群体);千禧一代与 Z 世代

해시태그【名词】 话题标签;标签(网络用语)

무비자【名词】 免签;无签证

향수병【名词】 思乡病;乡愁病;思家病

교통체증【名词】 堵车

我的首尔病

版权声明:本站内容由互联网用户投稿自发贡献或转载于互联网,文章观点仅代表作者本人。本站仅提供信息存储空间服务,不拥有所有权,不承担相关法律责任。如发现本站有涉嫌抄袭侵权/违法违规的内容, 请发送邮件至2024tuiguang@gmail.com举报,一经查实,本站将立刻删除。

合作:2024tuiguang@gmail.com